주식

[2022/07/11] 신세계 주가 전망 및 종목분석, 목표주가 계산

Blobot 2022. 7. 12. 03:0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종목 분석하는 바미봇입니다!
오늘은 새로 리포트가 올라온 종목, <신세계(004170)>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종목 리포트를 살펴보기 어려우신 분들, 중요한 부분만 모아 쉽게 읽고 투자하실 수 있도록 분석해서,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 드리겠습니다.

1. 신세계 주가

2022년 07월 11일 기준으로 신세계의 주당 가격은 214,000원 입니다.

신세계의 최근 수익률은 1개월 -16.24%, 3개월 -16.57%, 6개월 -10.46% 입니다.
그럼 앞으로의 수익률은 어떻게 될까요? 이제 재무재표와 리포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2. 신세계 가치 분석

가치평가의 기본인 재무재표를 활용한 투자지표 분석입니다. 동일 업종 실적 대비 저평가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신세계 과거 평균 최근 결산 동일 업종 평균
PER 10.07 6.87 9.87
PBR 0.73 0.56 0.41
EPS 23382.4 31,165 4463.71
ROE 6.48 8.54 3.91

* PER : 기업의 순수익 대비 주가 수준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PBR : 기업의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ROE :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EPS :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3. 신세계 리포트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보는 이유는 재무재표 이외에 다른 이슈와 전문가의 분석 포인트를 파악하기 위해서 입니다.

작성일 제목 증권사 투자의견 목표가
2022-07-11 2Q22 Preview: 든든한 실적 교보증권 Buy 380,000
2022-05-12 1Q22 Review: 리오프닝 종합 선물세트 이베스트증권 Buy 380,000
2022-05-12 1Q22 Reveiw: 믿고 가는 1등 백화점 교보증권 Buy 380,000
2022-05-12 명품 경쟁력의 수혜 지속 미래에셋증권 매수 359,000
2022-03-25 가장 우량한 오프라인 유통주 교보증권 Buy 380,000

오늘 발표된 교보증권 리포트의 요약 내용입니다.

2Q22 Preview: 1)객수 증가 2)패션 성장 신세계의 2Q22 K-IFRS 연결기준 매출액은 YoY 31.2% 성장한 1조 8,305억원, 영업이익은 YoY 40.6% 성장한 1,353억원으로, 기대치를 상회하는 호실적 전망. 2분기 면세 부진 지속됐으나, 면세 외 백화점, 패션, 호텔 등 전 부문 매출 성장 및 이익 확대 추정

4. 신세계 목표주가

목표 주가를 산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중 하나인 PER 목표주가와 보수적인 PBR 목표주가를 계산합니다. PER 목표주가는 동종업계 평균 PER(9.87)을 적용해서 목표주가를 산정하고, PBR 목표주가는 동종업계 PBR 평균(0.41)을 기준으로 산정했습니다. 지표를 기반으로 계산한 목표주가이기 때문에, 현재 주가가 지표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목표주가가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전일종가 : 214,000 원 신세계 과거 평균 지표 기준 동종업계 평균 지표 기준
PER 목표주가(원) 313,832 307,599
PER10 목표주가(원) 311,650 -
PBR 목표주가(원) 278,964 156,679

* PER 목표주가 = 업종 PER X EPS
* PBR 목표주가 = 종가 * (업종PBR / PBR)

5. 신세계 기업개요

동사는 1955년 동화백화점으로 설립되어 1985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매매가 개시 됨.사업 영역은 백화점사업,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 화장품 제조 및 도소매사업, 면세점사업, 부동산 및 여객터미널업관광호텔업, 가구소매업으로 세분화 됨.신세계센트럴시티, 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 신세계인터내셔날, 까사미아,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출처: FnGuide]

이 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종목 추천이 아닌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종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증권투자는 반드시 자기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하여야 하며, 자신의 여유자금으로 분산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